전체 글 13

『왜 다시 자유인가?』필립 페팃-제1부 자유의 이념:제2장 자유의 깊이

제2장 자유의 깊이 이 장에서는 소설 속 노라나 운 좋은 노예의 상황을 벗어나기 위해 정확히 어떤 자유가 요구되는지 살펴보려 한다. (생략) 이미 살펴보았듯이 공화주의 전통은 특정한 선택이나 그 유형에서의 자유에 관심이 없고, 주로 한 인간 또는 시민으로서의 자유에 초점을 맞춘다. 선택의 자유를 위한 공식 선택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나는 그것을 바로 당신의 통제하에 있는, 즉 당신의 처분에 맡겨진 일련의 선택지 또는 대안이라고 정의한다. 가령 당신은 두 개의 대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생략) 당신은 아래 정도만큼 선택의 자유를 향유한다. 1. 당신이 선호하는 선택지를 취할 수 있는 여지와 자원이 있어야 한다. 2. 당신이 선호하는 바가 무엇이든 그것이 선택지에 있어야 한다. 3. 당신이 무엇..

『왜 다시 자유인가?』필립 페팃-제1부 자유의 이념:제1장 자유의 과거와 현재

제1장 자유의 과거와 현재 당신은 언제 자유로운가? 풀린고삐 조금만 생각해보면 풀린 고삐는 말에게도 인간에게도 최선의 자유를 실현해주지 못한다. 말의 고삐를 느슨하게 쥐고 있다는건 내가 방향을 잡기 위해 딱히 고삐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뜻이다. 마침 우연히도 말이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을 때만이 아니라 특별히 가려는 방향이 없을 때에도 나는 말이 가고 싶은 대로 내버려둔다. 그러나 나는 여전히 안장에 앉아 있으며, 어느 때고 마음이 바뀌면 다시 고삐를 틀어쥘 수 있다. 지금은 말을 조종하고 있지 않지만 잠재적이고 유예된 통제를 누리고 있다. p.47-48 독립된 인간으로의 열망, 공화주의 개념 시민이란 왕이나 귀족과 같은 권력자가 부과한 법이 아니라, 시민의 통제를 받는 법으로 보호받는 자다. ..

『왜 다시 자유인가?』필립 페팃-한국 독자를 위하여,옮긴이의 말, 머릿말

한국 독자를 위하여 수천 년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공화주의 전통에 따르면 이러한 절차적 기준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모든 권력은 그 권력을 지닌 사람들을 부패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옮긴이의 말: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공공선을 창출하는 정치사회적 조건 1. 비록 세상을 바꾸려는 노력이 폭력과 사회공학으로 전락하더라도 정치철학의 존재이유는 '교조적 재생산'이 아니라 '가능한 최선의 실현'에 달려있다. p.11 감정적 운동이나 순간적 공분은 문제의 본질이 아니다. 기존의 제도가 어떤 정치사회적 해악을 만족스럽게 해결하지 못할 때, 민주주의 사회는 해악의폭로와 대중적 공분을 용인해야 한다. p.12 정치가 시민이 형성하는 공적 압력에 좌우된다는 것은 감당해야 할 숙제이지 척결해야 할 병폐는 아니다...